Quick Menu
 

Juhwa Park

Juhwa Park

Juhwa Park

02-3700-0755 juhwapark@kyungnam.ac.kr
Social and cultural dynamics of North Korea, Affective polarization in South Korea,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Peace education
Degree
2005.09.01 ~ 2012.05.27Brown University / Cognitive Sciences / PH.D
2001.03.02 ~ 2003.02.25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인지심리전공(심리학석사)
1994.03.02 ~ 2001.02.26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산업심리전공
Experience
2025.01.01 ~ 현재북한연구학회 사회문화분과 위원장
2022.09.01 ~ 2025.08.31이화여자대학교 북한학과 겸임교수
2020.01.01 ~ 2022.12.31북한연구학회 총무위원회 위원장
2019.09.01 ~ 2025.08.31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2019.03.01 ~ 2022.02.28통일부 통일교육위원
2019.03.01 ~ 2020.02.28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2018.09.01 ~ 현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2018.03.01 ~ 2019.08.31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부교수
2016.03.01 ~ 2017.08.31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겸임교수
2015.07.20 ~ 2025.08.31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2014.03.01 ~ 2015.07.3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공학계열 연구원
2013.04.01 ~ 2014.02.28국성균관대학교 인터렉션사이언스연구소 선임연구원
2012.03.02 ~ 2012.06.21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시간강사
2012.03.01 ~ 2014.08.31경상대학교 심리학과 시간강사
2005.03.01 ~ 2005.06.21 성균관대학교 심리학과 시간강사
2004.04.01 ~ 2004.07.31 성균관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연구원
2003.09.01 ~ 2004.08.31 경상대학교 심리학과 시간강사
2001.03.01 ~ 2003.02.28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부 심리학과 교육조교
11996.06.20 ~ 1998.08.1 육군 제대(병장)
Artice
1. 석사학위논문, “전제들간의 인과관계가 속성 추론에 미치는 효과 : 병렬적 인과와 위계적 인과”, 성균관대학교, 2003.02.
2. 박사학위논문, “The Psychological Reality of the Markov Property of Causal Bayes Nets”, Brown Uniersity, 2012.05..
3. 박주화 (2024). 천주교인의 북한인식: 기대와 현실, 인간과 평화, 5(1). 87-119.
4. Nir, N., Halperin, E., & Park, J. (2022). The Dual Effect of COVID-19 on Intergroup Conflict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66(10), 1908–1930.
5. 이하연,권영미,서정길,박주화,최훈석 (2022). 한국인의 이중 사회정체성과 내집단 투사, 남북한 통일태도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6(4). 281-306
6. 이하연, 최훈석, 권영미, 박주화 (2021). 사회적 신념 및 남북 통일에 대한 태도, 통일정책 지지 간의 관계: 조절 및 매개모형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4), 27-48.
7. 최훈석, 박주화, 권영미, 이하연 (2021). 통일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3), 259-284.
8. Kwon, Y., & Park, J. (2019). Peace through Cooperation or Peace Through Strength? How to achieve peace in the Very Intractable Conflict Society, Historical Social Research, 44(4), 269-292.(SSCI)
9. Park, J., & Kim, K. (2019). Ethnic Identification Matters, Asian Perspective, 44(4). 673-697.(SSCI)
10. 윤성이, 박주화, 이민규 (2019). 20대 청년세대들의 남북한 통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예측하기 위한 변인 탐색: 의사결정 나무 예측 모형의 적용. 청소년학연구, 26권 11호, 361-388.
11. Park, J., & Cho, K. (2017). Toward the integration of peer reviewing and computational linguistics approaches. Journal of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55(1), 123-144.(SSCI)
12. 박용배, 박주화, 조광수 (2015). 계획되지 않은 햅틱 경험이 상품의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이 디바이스 내에서 보여지는 상품의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융복합학회지 13권 6호, 127-135.
13. 박주화, 도승이 (2015). 인과 구조 작동 방식이 인과 추론의 정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7권 2호, 201-230.
14. 양혜린, 김나혜, 박주화, 조광수 (2014). 모바일 디바이스의 베젤이 디바이스 내에서 보여지는 상품의 가치 평가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융복합학회지 13권 6호, 127-135.
15. 박주화, 조광수 (2014). 결과가 나쁘면 의도도 나쁘다: 한국인의 의도 및 의도성 판단. 한국 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6권 1호, 93-116.
16. Park, J. & Sloman, S. A. (2014). Causal explanation in the face of contradiction. Memory & Cognition, 42(5), 806-820.(SSCI)
17. Park, J & Sloman, S. A. (2013). Mechanistic beliefs determine adherence to the Markov property in causal reasoning. Cognitive Psychology, 67, 186-216.(SSCI)
18. 박주화 (2013). 인과 마르코프 가정의 심리적 실재성에 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5권 1호, 93-116.
19. 도경수, 박주화 (2003). 전제와 결론의 이유의 일관성이 속성 추론에 미치는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실험, 15권 2호, 203-218
20. 도경수, 박주화 (2002). 주제적 범주화와 분류적 범주화에 미치는 연상가의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14권 4호, 429-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