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현대북한연구 16권 1호 2013

현대북한연구 16권 1호 2013

발행일
2013.04.30
ISSN
1229-4616 (Print) / 2713-6051 (Online)
간행물 소개
현대북한연구 16권 1호에는 “북한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과 북한의 미래”라는 제목으로 지난 2012년 11월 열렸던 북한대학원대학교 북한미시연구소 개소기념 학술회의 때 발표된 논문 중 다섯편을 기획논문으로 싣는다. 그리고 그 외에 세 편의 일반 논문을 선정하여 싣는다. 기획논문은 다음의 다섯 편으로서 북한연구 지형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을 시도했다.

한병진은 북한 국내 정치와 정책을 좀 더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자신의 제안을 정당화하기 위해 그는 합리적 행위자 모델, 전망이론 등을 통해 북한 독재정권의 권력투쟁과 정책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조정게임을 통해 북한 엘리트의 협력과 딜레마를 조명한다. 북한의 특이성은 보편적 이론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새롭게 설명될 수 있고 동시에 북한이 특이한 만큼 북한 연구가 사회과학 본류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크다고 결론 맺는다.

박형중은 북한이 지난 20여 년 동안 크게 변화했음에도 불구하고 ‘개혁·개방’도 붕괴도 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한다. 북한 정권의 일련의 정치적·경제적 특징은 정변에 대한 면역성의 강화인데, 바로 이러한 특징이 개혁·개방을 어렵게 한다는 것을 밝힌다.

최봉대는 북한의 도시 연구 방법으로 미시적 분석의 중요성과 의의를 기술하고 실제 작업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방법적 원칙과 미시적 비교·분석의 문제틀 구성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자료 문제와 관련해서 인적 자료원의 지역적 편중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자료 수집 및 활용 방법을 모색한다.

홍민은 현재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을 통해 북한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본다.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제시하는 문제의식과 개념에 대해 검토하고, 북한 연구에 주는 방법론적 함의를 행위자 - 네트워크 국가론을 통해 구체적으로 모색한다. 이를 통해 행위자 - 네트워크 이론이 북한 연구에 방법론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대인임을 주장한다. 새로운 방법론에 대한 모색은 앞으로 북한 연구의 지형을 확대하고 다양한 층위의 고찰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그 밖에 이번 호에 선정된 일반논문 세 편은 다음과 같다.

김병로는 지난 10~15년간 진행된 북한의 시장화가 북한의 사회 계층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아직은 성분 중심의 기존 계층구조가 근본적으로 변화된 것은 아니나, 시장화의 진전에 따른 신흥자본가의 성장과 상인계급의 부상으로 인해 전쟁의 피해 보상을 기준으로 서열화된 북한의 사회계층 질서가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정은미는 북한의 유기농업 정책이 나오게 된 정치경제적 맥락과 담론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남북한 농업교류협력에서 갖는 함의를 식량주권의 관점에서 제기한다. 북한의 유기농업 담론은 농업증산의 수단에서 유기산업과 생태환경 보존까지 확장되고 있다. 북한은 쿠바의 사례와 유사하게 대외적 고립과 영농자재의 수입 제한과 같은 상황에서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쿠바와 달리 집단농업체제의 개혁 없이 기술적인 측면에서만 유기농법을 도입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지순은 발걸음, 청춘, 젊음, 열정 등을 키워드로 김정은 시대 서정시의 이미지를 분석한다. 김정은 시대의 신화 쓰기의 한 단면으로 이미지의 집중과 확산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체제 이양의 과정과 북한시의 현재를 포착한다.

또 한 해가 시작되어 초반의 새로운 걸음들을 내딛고 있다. 현대북한연구도 북한미시연구소와 함께 다시금 새로운 각오로 북한연구의 기초 연구를 지향하는 순수학술지로서 유용한 학문적 토양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다음 호에도 일반논문과 함께 ‘북한연구의 성찰’을 주제로 한 기획논문을 구상하고 있다. 16권 2호는 2013년 8월에 발간될 예정이며 원고 마감은 6월 30일까지이다. 학자와 연구자분들의 적극적인 관심 부탁드린다. 아울러 신진학자의 현상공모에도 우수한 논문이 많이 투고되기를 기대한다.

2013년 4월
편집주간 이우영
목차
  • 북한의 권력게임과 빗장전략 / 한병진(계명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다운로드
  • 북한은 왜 ‘붕괴’도 ‘개혁·개방’도 하지 않았을까? / 박형중(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다운로드
  • 북한의 도시 연구: 미시적 비교의 문제틀 모색과 방법적 보완 문제 / 최봉대(경남대학교 연구교수)다운로드
  • 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북한 연구: 방법론적 성찰과 가능성 / 홍민(동국대학교 연구교수)다운로드
  • 북한의 시장화와 계층구조의 변화 / 김병로(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교수)다운로드
  • 식량주권의 관점에서 본 북한의 유기농업 / 정은미(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연구교수)다운로드
  • 김정은 시대 북한 시의 이미지 양상 / 이지순(북한대학원대학교 연구교수)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