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Menu
 

구갑우

구갑우 교수
교수

구갑우

02-3700-0735 kwkoo@kyungnam.ac.kr
평화연구, 국제정치경제, 북한외교
학력
1991.03.-1998.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정치학 박사)
1995.09.-1996.08. University of Sheffied 대학원 정치학과 (Mpil 과정)
1989.03.-1991.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정치학 석사)
1982.03.-1986.02.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경제학사)
경력
2005.03.-현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2021.09.-2022.08. 제주평화연구원 객원연구위원 한신대 , 객원교수
2012.09.-2013.08. 일본 토야마대학 외래교수 일본 , 릿교대학 방문연구원
1999.03.-2005.02. 경남대학교 교수
논문
(공저), “유럽공동체의 정책결정과정에서 국민국가와 초국가적 제도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 2 (1994).
“지역통합의 원인과 결과,”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편, 『동아시아 신질서의 모색』 (서울: 서울프레스, 1996).
The Disruption of National Policy Communities in Europe: The Precondition for a European Policy, 1997 Fifth Biennial International Conference, European Community Studies Association, Seattle, U.S.A.
“공간, 공공성, 그리고 ‘국제관계’”: 국제관계(학) 비판을 위한 문제설정,“ 『정치비평』, 2호 (1997).
“유럽연합의 ‘신자유주의적’ 공공정책: 초국가적 통신정책의 기원·형성·실행,” 199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 논문.
“유럽연합의 통신시장 자유화 정책과 규제정책: 그 내용 및 실행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 20: 1 (1998).
“지역통합 이론의 재검토: 국가중심주의와 탈국가중심주의,” 『한국과 국제정치』, 14: 1 (1998).
“독점 형성의 정치: 유럽과 미국의 통신 부문 비교,” 『정치비평』, 4호 (1998).
“세계정치경제론적 시각에서 본 IMF 관리체제,” 1998년 한국정치학회 춘계학술회의.
“사이버공간과 국제관계: 하이에크적 접근,” 1998년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자유주의, IMF 위기 그리고 국가형태의 변화,” 『경제와 사회『, 40호 (1998).
“국제협상의 행위자로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우루과이 라운드 통신협상, 1982-1997,”『한국정치연구』, 8호 (1999).
“초국가적 정책 네트워크 형성의 정치: 유럽연합의 통신정책과정에 대한 비교정치적 분석,” 『국제정치논총』, 39: 1 (1999).
“서구 자유주의와 국가,” 국제정치경제연구회 편, 『20세기로부터의 유산: 세계경제와 국제정치』 (서울: 사회평론, 2000).
(공저), "서구정치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편, 『21세기 비교정치학』 (서울: 삼영사, 2000).
“지구적 통치와 국가형태: 시민국가의 전망,” 『경제와 사회』, 45호 (2000).
(공저), “영국에서 국가성 변화의 이중성에 대한 연구: 케인스주의 국가에서 신자유주의 국가로,” 『국제정치논총』, 40: 3 (2000).
(공저), “동아시아지역 국제경제기구의 형성 및 제도화,” 『한국과 국제정치』, 16: 2 (2000).
“세계무역기구(WTO) 지역주의 조항의 기원: 국제경제법 형성의 정치경제,” 『국제정치논총』, 41: 1 (2001).
“국제기구를 다시 읽기,” 『진보평론』, 8호 (2001).
“세계무역기구(WTO)의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한국정치학회보』, 35: 2 (2001).
“국제기구의 인도적 포용정책: 유럽안보협력기구 인권정책의 가능성과 한계,” 『국가전략』, 7: 2 (2001).
“늙은 근대의 저항: 안과 밖의 경계 허물기,” 『역사비평』, 57호 (2001).
(공저), “자유주의 국제정치경제 이론과 남북한 관계,” 『국제정치경제연구』, 3집 (2001).
The Korean Peninsula before and after September 11, Asia Solidarity Quarterly, no. 7 (2002).
“탈냉전 시대, 북한과 유럽연합의 관계,“ 『평화논총』, 5: 2 (2002).
“남북한 경제협력과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기능주의적 통합의 모색,” 서대숙 외, 『정상회담 이후의 북한』 (서울: 경남대, 2002).
“비판적 국제이론과 한반도의 평화과정: 대안적 연구의제의 설정,” 『통일정책연구』, 11:1 (2002).
“북한연구의 ‘국제정치’: 오리엔탈리즘 비판,” 『현대북한연구』, 5: 1 (2002).
(공저) “한국적 국제관계이론의 형성과 적용,” 『한국정치연구』 (2002).
“EU 정보화정책 변화 추이와 추진체계의 변화,” 한국정치학회 연말학술대회 (2002).
“급진적 국제이론의 재검토,” 한국국제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 (2002).
“한국의 안보환경과 미국의 역할,” 日韓共同硏究會 발표문 (2003).
“북한 인식의 정치적 회로: 국제관계학의 오리엔탈리즘 비판,” 『정치비평』, 10호 (2003).
(공저) “남북한 평화체제의 건설과 통일교육: 연합제와 낮은 단계 연방제의 수렴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9: 4 (2003).
“평화개념의 비판적 구성: 한반도적 맥락,” 『기억과 전망』, 5호 (2003).
(공저) “북한 도시 ‘농민시장’ 형성과정의 이행론적 함의,” 『현대북한연구』, 6: 2 (2003).
(공저) 『한반도 평화보고서』 (서울: 에버트 재단, 2003).
(공저) “국가중심적 통합이론으로 본 동아시아 지역협력,” 『사회과학연구논총』, 12호 (2004).
“국제정치경제(학)와 비판이론: 존재론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8: 2 (2004).
“남북한 관계에 대한 메타이론적 접근,” 『사회과학연구』, 12: 2 (2004).
(공저) 『한반도 평화정착과 국회의 역할』, 국회연구용역과제 (2004).
“지구화 시대 북한의 선택,” 『새로운 북한읽기를 위하여』 (서울: 법문사, 2004).
“한국 사회운동의 국제정치,” 『변화하는 세계 바로 보기』 (서울: 나남, 2004).
“북한연구방법론 재론,” 북한연구학회 연례학술회의 (2004).
(공저) “한반도 평화체제 수립과 동아시아 다자간 안보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 국제정치』 21: 2 (2005).
(공저) “탈냉전, 세계화, 탈근대 시대의 국제관계학: 대상과 방법의 재구성,” 『국제정치연구』 8: 1 (2005).
(공저) “북한의 도시 ‘장마당’ 활성화의 동학,” 『현대북한연구』 8: 3 (2005).
“한국의 ‘평화외교’: 평화연구의 시각,” 『동향과 전망』, 67 (2006).
“한국 시민사회의 평화인식,” 『當代韓國』, 49期 (2006).
“남북관계 발전 국회의 역할,” 『국회도서관보』, 329 (2006).
The System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uilding a 'Peace State' Korea Journal, 46: 3 (2006).
“글로벌 외교의 지향,” 『동아시아시대 새로운 외교지형의 구축』 (서울: 경기개발연구원, 2006).
(공저) 『한반도경제 구상』 (서울: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2006).
(공저) 『한국 대외협력 정책의 전략적 모색』 (서울: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6).
『유럽통합의 정치와 신자유주의적 통신정책』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7).
(공저) Security and Foreign Policy of the ROK Government (Seoul: Happyreading, 2007).
탈냉전·민주화시대의 대북정책과 남북관계,“ 『역사비평』, 81 (2007 겨울). (공저) “북한의 공과 사,” 『현대북한연구』, 11: 2 (2008). Peace States Making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2008 World Conference against A&H Bombs.
“한반도적 맥락의 비판적 평화·안보담론: ‘평화국가담론’ 재론,” 『한국과 국제정치』, 24: 3 (2008).
(공저) “김영삼·클린턴 정부 시기 한미관계,” 『역사비평』, 88 (2009).
“Gone but Not Dead, Sprouting but Not Yet Blossoming: Transitions in the System of Divsion, 1980-1997," Korea Journal, 49: 2 (2009).
(공저) “김영삼·클린턴 정부 시기 한미관계,” 『역사비평』, 88 (2009).
“Gone but Not Dead, Sprouting but Not Yet Blossoming: Transitions in the System of Divsion, 1980-1997," Korea Journal, 49: 2 (2009).
“녹색평화국가론과 한반도 평화체제: 국가형태와 남북관계,” 『통일과 평화』, 2: 1 (2010).
"Towards a Working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 Perspective on the Theory of Peace States", 『Korea Journal』 (2011.07)
"핵안보정상회의와 핵 없는 세상: 평화연구와 운동의 시각", 『경제와 사회』 (2012.06)
"탈식민적 분단국가의 재생산: 남북한과 아일랜드-북아일랜드의 사회적 장벽 비교", 『한국과 국제정치』 (2012.09)
"남북한 대화에서 남북한의 상호인식 변화", 『북한학연구』 (2013.08)
"아일랜드섬 평화과정 네트워크의 형태변환: 합의 이후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이념과 세력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013.09)
"北朝鮮の外交政策と東北アジアの平和 - 安保の経済, そして市民社会", 『The Journal of Peace and Community Studies』 (2014.03)
"북한 '핵 담론'의 원형과 마음체계, 1947~1964년", 『현대북한연구』 (2014.04)
"제2차 북미 핵갈등의 담론적 기원: 2002년 10월 3일~11월 26일, 말의 공방과 담론의 생태계", 『한국과 국제정치』 (2014.12)
"북한 소설가 한설야(韓雪野)의‘평화’의 마음(1), 1949년", 『현대북한연구』 (2015.12)
"남북한 접촉지대와 마음의 통합이론‘마음의 지질학’ 시론", 『현대북한연구』 (2016.04)
"The Discursive Origins of Anti-Americanism in the Two Koreas" 『ASIAN PERSPECTIVE』 (2017)
"북한 핵 담론의 국제정치: 북한적 핵 개발의 이유와 김정은 정권의 핵 담론" 『동향과 전망』 (2017.02)
"리영희의 '비판'과 '실천'으로서의 국제정치 이론: 탈식민·탈패권·탈분단의 길" 『한국정치연구』 (2017.02)
"평창 '임시평화체제'의 형성 원인과 전개: 한반도 안보딜레마와 한국의 '삼중모순(trilemma)' " 『한국과 국제정치』 (2018.06)
"평창 임시 평화 체제에서 판문점 선언으로: 북한의 개혁·개방 선언과 제3차 남북정상회담, '연합적 평화'의 길" 『동향과 전망』 (2018.06)
"미국의 세컨더리 보이콧 금융제재의 의도와 실행전략: 방코델타아시아 사례의 제재 효과와 매커니즘" 『통일정책연구』 (2019.06)
"1950년대 북한의 두 '평화의 마음' " 『통일과 평화』 (2019.06)
"두 '평양시간': 북한문학에 투사된 북한 특유의 시간과 마음" 『문화와 정치』 (2019.06)
"한반도 안보 딜레마와 북한의 '경제·핵 조건부 병진노선'의 길: 2019년 12월 한반도 위기와 평화체제를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2020.02)
저서/역서/편서
“The Reality behind South Korea-US Alliance,” Korea Peace Report (2003).
“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 (공저) 『현대정치의 이해』 (서울: 인간사랑, 2003).
(공저) 『북한연구방법론』 (서울: 한울, 2003).
(공저) 『현대 국제관계이론과 한국』 (서울: 사회평론, 2004).
(공저) 『근대 극복을 꿈꾸는 동아시아의 도전』 (서울: 청어람미디어, 2004).
(공저) 『북한 도시의 형성과 발전』 (서울: 한울, 2004).
(공저) 『남북한 관계론』 (서울: 한울, 2005).
(공저) 『북한 연구의 성찰』 (서울: 한울, 2005).
(공저) 『정치학의 대상과 방법』 (서울: 박영사, 2006).
(공저) 『북한 도시의 위기와 변화』 (서울: 한울, 2006).
(공저) 『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대안 체제 모형을 찾아서』 (서울: 함께읽는책, 2006).
(공저) 『북한의 노동』 (서울: 한울, 2007).
(공저) 『한반도 경제론』 (파주: 창비, 2007).
『비판적 평화연구와 한반도』 (서울: 후마니타스, 2007).
(공저)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변화』 (서울: 한울, 2007(6)).
(공저) 『21세기 한반도 평화의 근원적 모색』 (서울: 한학문화, 2008).
『국제관계학 비판: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서울: 후마니타스, 2008).
(공저) 『북한 도시주민의 사적 영역 연구』 (서울: 한울, 2008).
(공저) 『노무현시대의 좌절』 (파주: 창비, 2008).
(공저) The Dymamics of Change in North Korea (Seoul: The IFES, 2009).
(공저) 『동북아 질서 재편과 북한의 정치경제적 변화』 (서울: 한울, 2010)
(공저) 『갈등하는 동맹』 (서울: 역사비평사, 2010)
(공저) 『북한의 국제관과 동북아 질서』 (서울: 한울, 2011)
(공저) 『현대북한학강의』 (서울: 사회평론, 2013)
(공저) 『글로벌 거버넌스와 북한의 정치·경제 체제전환 전망』 (서울:한울엠플러스, 2016)
(공저) 『북단된 마음의 지도』 (사회평론, 2017)
(공저)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1-3』 (사회평론아카데미, 2018)
(공저) 『한반도 평화협정문 구상과 제안』 (통일연구원, 2019)
(공동 번역서), 『미국은 협력하려 하지 않았다: 북한과 미국의 핵외교』 (서울: 사회평론,1999).
(공동 번역서), 『마키아벨리로부터 배우는 지도력』 (서울: 리치북스, 2000).
(공역) 알렉산더 웬트, 박건영 외 옮김, 『국제정치의 사회적 이론: 구성주의』 (서울: 사회평론, 2009).
Bio
KOO Kab-Woo is a Professor of Politic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North Korean Studies. He was a visiting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Toyama and a visiting researcher at Rikkyo University in Japan.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North Korean diplomacy, and peace studies. His publications include Critical Peace Studies and Korean Peninsula(2007), A Critique of International Relations(2008), “Towards a Working Peace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2011), “Civil Society and Unification Movements in South Korea”(2011), “Reproduction of Post-Colonial Divided States: A Comparative Analysis on Social Partition between Two Koreas and Ireland-Northern Ireland(2012), “A Protype of Nuclear Discourse in North Korea, 1947-1964”(2014), “The Discursive Origins of Anti-Americanism in the Two Koreas”(2017),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Pyeongchang Provisional Peace Regime”(2018) and “Two Pyongyang Times”(2019)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