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경제체제와 관리체계, 경제정책, 남북한 간의 경제협력, 무역 및 대외개방 문제, 자원, 환경, 국토개발 및 인프라 구축현황 등을 교육함으로써 북한 경제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함양하고, 남북한 경제 교류 및 협력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그리고 북한의 과학 기술, 특히 IT분야를 고찰하고, 남북한 과학 기술 분야의 교류· 협력을 확대시킬 수 있는방안을 모색합니다.
주임교수 양문수
이 메 일 msyang@kyungnam.ac.kr
전화번호 02-3700-0746
전공과목
EI100북한경제론
북한경제와 관련된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는 이른바 개론의 성격을 지녔으며 가장 초보적이고 입문적인 과목이다. 크게 보아 북한 경제개발의 역사적 전개과정, 북한 경제체제의 특징, 북한경제의 부문별 현황, 북한경제의 개혁·개방, 남북한 경제관계의 현황·전망·과제 등 5가지 부문으로 구성된다.
EI110국제정치경제
국제경제의 현상과 특징, 그리고 그 본질적 성격을 개괄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국제경제분석에서 개발된 이론을 남북한 관계 및 남한과 북한의 대외관계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북한의 개방 가능성을 국제경제구조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EI115북한과학기술정책론
북한은 최근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해 각종의 정책 및 육성을 위한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에서 정보통신부문은 북한의 전략적 부문으로 육성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정보통신부문을 비롯한 과학기술정책 전반의 체계와 경향을 검토한다.
EI120인터넷과북한
최근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북한의“디지털 shift”를 각 부문에 걸쳐서 초보적으로 검토한다. 이 강좌에서는 북한 정보통신의 현상,남북한 정보통신 교류의 증대와 진행과정, 앞으로의 방향 등의 주제에 대해 사이버강의로 진행한다.
EI125북한사회간접자본론
북한의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인식,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현황, 각종 기준의 표준화, 향후 개발 방향 등을 중점 분석한다. 특히, 남북한 경제통합과정에서 남북의 사회간접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EI200한반도경제론
좁게 보면 남북한 경제관계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강좌이고 넓게 보면 한반도경제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학습이다. 남북한 경제관계의 양대 축이라고 할 수 있는 남북한 경제 교류협력 및 경제 통합에 초점을 맞춘다. 구체적으로는 남한경제 및 북한경제의 개관, 남북경협의 역사에 대한 검토, 남북경협의 현상에 대한 분석, 나아가 남북경협 및 남북통합의 미래에 대한 조망이 이 강의의 골격을 이룬다.
EI204북한의경제법
북한법 자체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북한자료 조사·활용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북한의 각종 1차 자료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또한 그동안 국내에서 구할 수 없었거나 구하기 어려웠던 북한의 법 관련 자료들도 활용한다. 북한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 소련법(러시아법), 중국법 등 과거 또는 현재 사회주의 국가들의 법과 비교하여 강의함으로써 수강생들의 비교연구 역량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EI209북한의경제개방법제
북한의 경제개방과 관련된 법제 전반을 살펴보는 것으로, 외국인투자법제, 특구법제가 주된 분야가 될 것이다. 개성공단법제도 함께 살려보게 된다.
EI210북한경제연구방법론
본 강의에서는 북한경제에 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한다.이를 위해 사회주의 경제, 체제전환, 경제발전에 관한 경제이론 중 중요한 주제들을 선별하여, 주요 주제별로 1) 기본 개념과 이론, 2) 소련, 중국 등 구 사회 주의 국가에 대한 실증연구 사례, 3) 북한경제에 대한 실증연구 사례 등을 검토한다.
EI211북한대외경제론
본 강의는 북한의 대외경제정책의 변화과정, 대외경제협력 현황, 주요국과의 경제협력 및 남북경협 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북한의 대외경제 활성화 및 대외개방 확 대를 위한 과제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음.
EI212북한경제시장화연구
북한의 시장화에 대한 학습은 오늘날 북한 경제, 나아가 북한 사회 전반의 이해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북한 경제 사회의 놀라운 변화에 관한 소식을 종종 접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변화의 한 가운데에는 시장화가 존재한다. 시장화는 이제 북한 경제의 작동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북한 경제 사회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그런데 외부세계의 관찰자들 사이에 북한의 시장화는 언제나 논란의 대상이다. 북한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정보와 자료는 여전히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결론 없는 논쟁만 반복되고 있다.
이 강의에서는 북한의 시장화 문제를, 주로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다각도로 검토해 북한경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EI213북한경제특강
북한경제의 여러 분야를 폭넓게 다루는 ‘개론’ 형식으로 진행한다.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개설하는 북한경제 교과목 가운데 가장 초보적/입문적인 ‘북한경제론’이 북한경제의 총론과 각론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면 이번에 개설하는 ‘북한경제특강’은 주로 각론으로만 구성된다.
EI213북한경제특강
북한경제의 여러 분야를 폭넓게 다루는 ‘개론’ 형식으로 진행한다.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개설하는 북한경제 교과목 가운데 가장 초보적/입문적인 ‘북한경제론’이 북한경제의 총론과 각론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면 이번에 개설하는 ‘북한경제특강’은 주로 각론으로만 구성된다.
EI215북한경제분석입문
본 강의에서는 북한경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과 방법론을 학습한다. 이를 위해 사회주의 경제, 체제전환, 경제발전에 관한 경제이론 중 중요한 주제들을 선별하여, 주요 주제별로 1) 기본 개념과 이론, 2) 소련, 중국 등 구 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연구사례, 3) 북한경제에 대한 연구사례 등을 검토한다.
EI220북한의부동산법제와남북통일
북한의 토지제도를 비롯한 부동산법제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통일시 야기될 수 있는 부동산 관련 문제점도 아울러 살려볼 것이다.
EI225북한정보통신정책과산업연구
북한의 전자·정보통신 부문에 대한 정책과 전자·정보통신 관련 정책기구의 변천과 그 현재적 특징을 분석하고 북한 경제 전반의 발전 과정 속에서 정보통신산업의 발전전략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정보통신산업 및 정보경제 일반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하여 전자, 통신부문에서 시작한 북한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에 대해 점검한다. 나아가 북한 정보통신산업 발전의 특징과 가능성을 평가, 전망한다.
EI226북한정보화론
본 강의는 먼저 정보통신혁명과 정보화 사회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 추진하고 있는 정보화 정책의 역사와 기본방향, 현 주소, 그리고 정보화 발전의 한계에 대해 살펴 봄으로써 북한 정보화의 미래상에 대해 예측하고 북한식 정보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EI227북한과학기술의역사
북한의 ‘과학기술의 역사’를 배우는 것이면서 동시에 ‘과학기술’을 통해 북한의 ‘역사’를 새롭게 해석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수업에서는 1차 사료를 직접 읽어보면서 이를 해석한 연구서들을 재해석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또한 수업을 통해 익힌 새로운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북한 과학기술의 역사에 대한 짧은 연구논문을 작성해본다.
EI230남북교류협력법제
남북교류협력과 관련된 남한과 북한의 법제 전반을 살펴 본다.
EI250개발경제론
이 강의는 개발경제론에서 주요한 이론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강의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교과서 순서대로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의 주요 주제로서 성장과 개발, 불평등과 가난, 농촌개발, 환경과 개발, 국제무역과 개발, 그리고 개발의 정치경제학 등이 포함되어 있다.
EI251통계분석에기초한북한경제연구
객관적인 통계 데이터를 토대로 북한경제를 분석하는 방법과 절차, 그리고 그것의 내용과 함의 등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수강생들로 하여금 북한경제 대한 정량적인 분석에 보다 친숙해 지도록 만들기 위한 것이다.
EI253원전을통해본북한경제개발사
이 교과목은 역사적 관점 (historical perspective)에서 북한에서의 경제개발을 다루며 북한의 원전(原典)들을 내적일관성 (internal consistency)을 견지하는 입장에서 분석, 연구하여 북한에서의 경제개발에 대한 이해의 폭과 지평을 넓히는 것이 주목적이다.
EI265정보통신혁명과국제사회
1980년대 이후 급속히 진행되어온 정보통신혁명의 파고는 지금 한 사회내의 산업적, 경제적, 사회·문화적환경을 급격히 변화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국제사회의 무역질서와 각종 정치적·사회적 질서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이러한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와 이것이 남북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룰 것이다.
EI270남북경협과경제통합
남북한 경제관계 및 한반도 경제와 관련된 주제들을 폭넓게 다루는 ‘개론’ 형식으로 진행한다.학생들로 하여금 남북한 경제관계 및 한반도 경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 을 넓히고 관련 주제들에 대한 나름대로의 시각과 논리를 갖추게 하는데 목적을 둔다.
EI291북한연구와텍스트분석
북한의 정치,경제,사회 분야의 텍스트를 읽는 방법을 습득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다.
EI295북한도시연구Ⅰ
북한의 도시는 중앙의 국가권력과 주민들의 일상생활이 역동적으로 맞물려 있는 사회적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과목은 북한의 도시 사례연구를 통해 북한사회의 정치경제적 조직원리와 주민동원기제 그리고 주민들의 적응적 생활양식 등 북한체제의 작동방식에 대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역점을 둔다. 지방도시의 공간적 특성, 지방권력구조, 지방공업 중심의 경제구조, 장마당 등의 비공식부문, 사회보장제도의 운용 실태, 여성의 일상생활 그리고 지방특수적(localistic)인 주민 정체성 등의 소주제들로 나누어 북한 주요 도시들의 전후 역사적 형성 및 변화과정을 다룬다.
EI296북한과동북아의지경학적연구
한반도 문제는 단순히 남북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 지역의 문제이며, 한반도 통일은 동북아 지역 여건에 대한 이해없이는 불가능하다. 이 과목에서는 동북아의 지리경제적 상황과 개별 국가 및 하위 지역의 발전 추이와 발전 전략을 살펴 보고 동북아 지역의 동반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러시아, 북한에 대한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중국 동북지구와 러시아 극동 지구의 지리경제적 상황을 세밀하게 분석해 본다. 또한 중-북, 중-러 간 초국경지역, 환황해권 및 환동해권 등 소권역의 지리경제적 여건과 초국경적 교류협력의 양상을 분석하고, 북한의 동북아 지역경제 편입과 장기적인 한반도 통일에 필요한 지리경제적 요소들을 점검해본다. 강의의 목표는 동북아 지역에 대한 이해를 넓혀, 대북 및 대동북아 정책수립에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EI300북한경제관리론
이 강의는 한반도가 자리잡고 있는 보다 상위의 틀인 동북아 지역을 조망하고 이해하는 시간이다. 동북아는 단순히 안보 분야뿐 아니라 경제협력, 사회문화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노무현 정부 들어서는 국가진로나 대외전략의 핵심개념으로 채택되기에 이르렀다. 동북아는 지역통합과 공동체 건설을 장기적 비전으로 삼고 있으며 북한문제의 해결이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EI301북한거시금융론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북한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살펴보고, 재정금융 부문의 특징을 살펴본다.
EI302한반도통일외교세미나
한반도 주변의 4대 강국은 한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교류와 협력의 파트너이면서, 동시에 한반도 안보와 직접적으로 연계 되어 있는 나라들이다. 또한 동북아 지역의 주요 행위자들이다. 이들 4대 강국은 세계적인 차원에서도 4대 강국으로서의 지위를 점하고 있으므로 이들과의 외교는 사실상 한국 외교의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반도 분단질서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통일외교'의 필요성이 점증하고 있다. 분단 시기가 길어지면서 한반도 분단은 동북아 질서의 한 부분으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통일은 이 질서의 혁파를 의미한다. 따라서 4대 강국은 통일이 자신들의 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물론 한반도 통일에 대한 4대 강국의 입장은 다양할 것이며, 통일이 어떤 과정과 방식으로 발생하느냐에 따라 또한 다양한 입장을 갖게 될 것이다.
'통일외교'란 한반도 통일에 대해 4대 강국이 우호적인 태도를 갖거나, 적어도 비우호적인 태도를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한국의 외교를 의미한다. 이 강의는 '통일외교'의 배경과 조건, 4대 강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입장, 강대국 간 관계에 의해 조성되는 통일의 국제환경을 살펴보고, '통일외교'의 추진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I303북한재정금융연구
본 강의는 북한의 재정금융 부문을 연구하는 데 중점을 둔다. 북한경제의 여러 부문들과 마찬가지로 북한의 재정금융 부문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특성을 띄면서도, 최근 두드러지는 제도변화를 보이고 있다.
EI304포스트코로나시대의국제질서와한반도
이 강의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야기된 국제질서의 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EI305동북아지역체제론
The basic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economic development in East and Southeast Asia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We will not only survey a general development experiences in Asian countries, but also to discuss major issues in Development Economics and Political Economy using the Asian development experiences.
EI306동아시아경제개발론
본 강의에서는 현재의 북한에게 경제특구가 갖는 의미와 역할을 고찰해보고, 북한경제의 회생과 남북경제통합, 동북아경제통합 측면에서 바람직한 경제특구의 개발모델을 찾고자 한다.
EI307북한인프라개발과한반도지경학
○ 남북 경제협력의 근간이 되는 SOC 인프라 개발의 방향과 한반도의 지경학을 활용한 성장 전략을 주제로 남북협력의 다양한 가능성과 미래 한반도 경제발전 시나리오에 대해 검토.
○ 유라시아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한반도의 지리경제학적 잠재력에 대한 이해 및 국제협력을 통한 북한 경제 발전 가능성을 모색.
○ 특히 남북을 연결하는 철도ㆍ도로ㆍ에너지 등 주요 인프라 구축과 한반도 네트워크 경제권 형성이 가져올 수 있는 남북경협의 새로운 방향을 구상해 보고, 첨단기술을 적용한 4차 산업혁명 분야 남북협력 및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 구축 가능성을 고찰.
EI308북한경제시장화연구2
본 강의는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에서 진행된 시장화 현상에 초점을 맞추어 장마당을 비롯하여 부동산, 금융, IT, 물류, 생산 등 다양한 부문에서의 북한 경제 현황 및 주민 삶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북한 시장화의 수준을 이해하고 북한 경제의 내구력을 평가하는 시각을 기르고자 한다.
EI310북한경제특구개발론
북한경제와 관련해 북한에서 공식 출판된 문헌, 이른바 원전을 강독하는 교과목이다. 故 김일성 주석의 경제 분야 저작?연설을 한데 모은『사회주의 경제관리 문제에 대하여』시리즈와 경제 분야 전문잡지(계간)『경제연구』,『근로자 』등을 읽고 토론한다.
EI316대북지원과북한사회
1995년 북한의 수해발생을 계기로 본격화된 대북지원을 국제구호체계 및 효과성 평가 이론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북한사회를 내부 지원환경 및 파급력차원에서 집중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함.
EI320북한경제문헌강독
1. 개발과 원조의 이론과 실제에 관련한 국제적 논의에 대한 이해
2. 개발 및 원조 관련 주요 국제기구의 업무 및 정책 체계에 대한 이해
3. 대북한 원조와 관련한 주요 사항에 관한 이해
4. 정책 지향 및 실무 지식을 중심으로
EI321북한개발지원론
본 강의는 남북한간 교류협력을 통한 경제통합체 형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룰 수 있으며, 과연 그것이 가능한 지를 논의하는 데 있음.
EI325경제통합론
북한경제에 있어서 이른바‘경제체제(경제시스템)’의 문제를 정면에서 다룬다. 사회주의 경제, 중앙집권적 계획경제로서의 북한경제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경제관리란 넓게 보면 국가가 국민경제 내에서 생산과 직접·간접적으로 관련된 모든 경제활동을 관리하는 것이고 좁게 보면 기업을 비롯한 개별 생산단위들을 관리하는 것이다.
EI330사회주의비교경제론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제체제를 비교적인 맥락에서 분석하고, 동시에 자본주의 체제와의 개략적인 비교를 통하여 사회주의 경제의 독특성을 규명한다. 소련, 중국, 쿠바, 동유럽 사회주의국가 등의 고전적 사회주의경제 및 체제전환기의 경제에 대한 경험분석이 시도된다.
EI332사회주의경제세미나
사회주의 경제에 대한 대표적인 저작들을 함께 읽고 토론하는 시간이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 경제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시기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포괄한다.
EI333북한의외국인투자법제연구
본 교과목은 북한의 외국인투자법제를 연구하는 것이다. 북한의 법 중 외국인투자와 관련된 것은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런 법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는지를 살펴본다.
EI335북한경제세미나
본 교과목은 북한경제와 관련된 여러 문헌들을 강독하는 수업이다. 이미 개설된 바 있는 ‘사회주의경제 문헌강독’ 교과목과 ‘북한경제 문헌강독’ 교과목을 결합해, 한 학기용 수업으로 압축한 교과목이다.
EI336이행경제연구
이 교과목에서는 중국과 베트남의 전환경제 (transitional economy)의 경험을 통해 북한 경제 전환을 경제학의 관점에서 탐구하고 연구한다.
EI340북한산업론
본 강의는 수강생들로 하여금 북한 경제의 오늘과 내일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북한 경제 및 남북경협, 나아가 남북 경제통합에 대한 연구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EI345남북한정보통신교류협력연구
이 강좌는 최근 확대되고 있는 남북한 IT교류의 기반과 발전방향에 대해 검토하고, 나아가 전자상거래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기반하여 남북한 전자상거래의 가능성, 개발 가능한 Digital상품의 개념과 종류, Digital상품의 사업모형과 전략 등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남북한의 IT협력 모델을 탐색해 본다.
EI350정보시대와남북한사회론
정보화의 진행이 남북한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향후 한반도 통합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한다. 이를 위해 정보화와 남북한 사회변화, 정치변화, 경제변화 그리고 군사환경 변화 등이 이 강의에서 다루어 질 것이다.
EI351SNS시대의북한IT전략연구
최근 전세계적으로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폭발적 보급을 계기로 정치, 경제, 사회·문화 전반에 새로운 변화가 야기되고 있다. SNS의 확산은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자본주의 국가의 정치만이 아니라 견고하기만 하던 중동지역의 권위주의 정치체제도 근본에서 흔들고 있다.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IT산업 및 인터넷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전략을 채택해온 북한은 SNS시대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강의는 SNS시대의 국제정치경제의 변화에 대한 체계적 학습에 기반하여 권위주의 국가 및 북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체계적 점검, SNS시대의 대한 북한의 대응현황에 대해 학습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북한의 뉴미디어 전략과 변화된 IT전략에 대해 분석하고 찾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EI360북한소설과북한주민의마음
북한 소설은 사실주의를 바탕으로 정치사상 교양 기능을 중요하게 담당하고 있는 갈래라는 점에서 북한이라는 국가 공식의 단일 현실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쓸모 있는 수단이다. 이 점이 바로 북한 소설론 과목의 의의이고 목표라고 할 수 있다.
EI370중국경제개혁개방
본 강좌는 중국경제의 개혁개방 과정을 주로 초기 10여 년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이로부터 향후 북한의 개혁개방 또는 체제전환에 대한 시사점 도출한다.
EI375독일의경제통합
독일통일의 경험은 한민족이 몇 번이고 들여다보아야 할 거울이다. 이 교과목은 독일통일에 대한 경제적 측면에서의 접근이다. 경제통합의 배경, 전개과정, 평가, 동독의 체제전환과 경제재건 등의 주제를 포괄한다.
EI380사회주의체제전환연구
1980년대 말 몰락한 ‘현존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 전환 과정은 향후 북한의 정치변동을 가늠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준거가 된다. 이 강의는 사회주의 국가들의 체제전환 과정을 일반론적으로 살펴보고, 북한의 체제 전환에 필요한 이론과 개념을 추출하여 향후 북한체제 전망을 위한 자원으로 삼고자 한다.
EI390정보화시대남북한군사특강
정보통신혁명은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 변화만이 아니라, 이른바‘정보전’개념을 제기함으로써 전쟁의 개념자체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강좌는 정보통신혁명에 따른 군사기술혁신(RMA)을 중심으로 한 오늘날 정보전의 특성을 소개하고 남북한 정보전의 현황을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논의한다.
EI394국가정보론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을 위한 정보활동 전반에 관한 이해
국가정보의 역할과 정보활동의 방법론을 이론과 실제적 관점에서 접근
EI395북한도시연구Ⅱ
이 과목은 북한도시연구 (I)의 학습 성과를 바탕으로 주요 소주제별로 현단계 북한 도시의 내적 통합과 탈구 상태를 추적함으로써 열린 시각에서 북한체제의 이행 전망과 경로를 가늠하는 데 역점을 둔다. 이를 위해 주요 도시들의 사례 분석을 통해 중앙-지방도시간/지방정권기관 내부의 정치적, 경제적 관계 변화 및 도시적 생활양식의 질적 변화의 특성과 의미 등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와 병행하여 시장지향적 경제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다른 사회주의국가 도시들의 사회적 공간의 변형과정을 소주제별로 개괄함으로써 이 과목의 학습 과정을 보조한다.
EI400경제학세미나
북한경제 학습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인 경제학 지식을 습득하고 경제학적 사고를 훈련하는 교과목이다. 경제원론, 거시경제론, 비교경제체제론, 신제도주의경제학, 경제발전론 등의 과목을 다루되 필요한 주제와 항목을 발췌해서 세미나 형식으로 학습한다.
EI401남북경제협력세미나
남북경제협력 참여기업의 경쟁력 향상방안과 구성원과의 협력방안도 도출해볼 수 있다.
EI410남북교류협력판례세미나
남북교류협력과 관련된 법원의 판례, 정부관련기관의 결정 등을 중심으로 한 사례를 살펴 본다.
EI415사회주의경제문헌강독
사회주의 경제에 대한 대표적인 저작들을 함께 읽고 토론하는 교과목이다. 이를 통해 사회주의 경제의 보편성의 문제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시기적으로는 사회주의 경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포괄한다. 즉 본격적인 개혁·개방 이전의 이른바 고전적 사회주의 경제 시기부터, 경제개혁기, 그리고 체제전환기를 모두 다룬다.
EI420북한과국제경제
대외개방을 시도하고 있는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및 북한과 타국과의 경제관계를 고찰한다. 북한과 국제경제기구, 북한에 대한 외국기업의 투자 등도 연구의 대상이다. 특히 북한의 국제경제기구에서의 활동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EI420북한민족주의의정치경제
이 강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이론의 학습
(2) 민족(nation) 개념의 수입사
(3) 남북한 민족과 민족주의 개념의 분단사
(4) 북한의 민족주의 이론의 전개과정
(5) 북한 민족주의와 자립적 민족경제
(6) 민족주의가 한반도 평화과정에서 가지는 의미
EI425북한국토개발론
본 강좌에서는 기본적으로 남북한간의 점진적인 정치, 경제적 통합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예외적인 긴급상황을 가정한 논의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EI431남북경협실무세미나
정부의 대북 경협 추진방향, 경협의 성공·실패 사례, 실무과정의 난제와 해결방안, 북한의 투자환경과 상거래 관행, 디지털시대의 남북경협, 외국기업의 대북 투자전략 등을 살펴본다. 남북경협에 실제로 종사하는 전문가들의 특강이 실시된다.
EI491북한연구와텍스트분석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텍스트를 읽는 방법을 습득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된다.
EI492군사와경제세미나
국방비, 군비부담, 병력구조와 비용, 군비지출 배분, 군수산업, 무기 수출입, 연구개발 및 군사기술혁신 등을 정치경제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남북한의 군비경쟁과 군사력균형을 연구한다.
EI495정보통신특강
정보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이슈와 쟁점을 실무전문가들을 초빙하여 토론함으로써 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연구계획 수립에 기여한다.
EI500자율연구
학생들의 자발적인 수요에 맞추어 북한경제와 관련된 특수하고도 세부적인 주제를 교수와 학생이 특별한 커리큘럼을 가지고 운영하는 강의이다. 특히 논문을 쓰고자 하는 학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