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석사학위 논문, “Globalisation of Korean Film Industry”, University of Essex, (2000).
박사학위 논문, “Globalisation, Film and Authenticity: Renaissance of Korean National Cinema”, University of Essex, (2006).
"Renaissance of korean National Cinema as a Terrain of Negotiation and Contention of the Global and the Local: Analysing Two Korean Blockbusters, Shiri(1999) and JSA (2000)", Essex Graduate Journal of Sociology, No 6, (2006).
"Recovering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in Realistic Local Film: The Value of a Local Film in the Age of Postmodernism", Development and Society, Vol. 36, No 1, (2007).
"한국영화산업의 신자유주의 체제화",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9호, (2011).
"북한이탈주민 일상연구와 이주연구 패러다임 신고찰", 『아태연구』, 18호, (2011).
"경험되는 북중 경계지역과 이동경로: 북한이탈주민의 경계넘기와 초국적 민족공간의 확장", 『공간과 사회』, 40호, (2012).
"Defector’ ‘Refugee’ or ‘Migrant’?: North Korean Settlers in South Korea’s changing Social Discourse", North Korean Review, Vol. 8, No. 2. (2012).
"북한이탈주민의 월경과 북중 경계지역: ‘감각’되는 ‘장소’와 북한이탈여성의 ‘젠더화’ 된 장소감각", 『한국사회학』, 47권 1호, (2013).
"Tracing Japanese filmworkers’ journeys to the global”,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14, No 2, (2013). book review
"분단체제가 만들어낸 이방인, 탈북자: 탈냉전과 대량탈북시대에 남한 사회에서 ‘탈북자’라는 위치의 가능성과 한계", 『북한학연구』, 10권 1호, (2014).
(보고서)『스페인과 인도 영화 시장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정책 보고서, (2009).
"I am well-cooked food: survival strategies of North Korean female border-crossers and possibilities for empowerment",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15, No. 4. (2014).
"2014 인천아시안게임 남북 여자축구 관람기 : 탈북 주민과 남한 출신 연구자의 교차하는 마음(들)", 『문화와 사회』, 18호, (2015).
"북한 청년의 세대적 마음과 문화적 실천: 북한 사이(in-between) 세대의 혼종적 정체성", 『통일연구』, 19권 2호, (2015).
"북한 주민의 일상과 방법으로서의 마음: 생활총화와 검열의 상황에서의 공모하는 마음", 『경제와 사회』, 109호, (2016).
"공감의 윤리, 그 (불)가능성 - 필드에서의 연구자의 마음", 『북한학연구』, 12권 1호, (2016).
"Mobile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places in the Sino-North Korea Borderland", Asian Anthropology, Vol. 15, No. 2. (2016).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원거리 모성: 친밀성의 재구성과 수치심의 가능성,” 『문화와 사회』, 23권, (2017).
“분단의 마음과 환대의 윤리 : ‘태극기’집회 참가자들과 탈북자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75권, (2017).
“‘민족-영화’ 개념의 변천: ‘조선영화’에서 ‘코리안시네마’까지,” 『탐라문화』, 56권, (2017).
“분단체제에서 '사회'만들기,” 『창작과 비평』, 179호, (2018).
“북한 출신자와 사회 만들기: 호혜성과 환대의 가능성,” 『문화와 정치』, 5권 1호, (2018).
"북한 정치체제와 마음의 습속: 주체사상과 신소(伸訴) 제도의 작동을 중심으로", 『현대북한연구』, 21권 2호, (2018).
"한(조선)반도에서 내셔널시네마의 정전(正傳)을 기억하는 방법: 나/라운규<아리랑>에 대한 남북한 해석의 분단", 『문화와 사회』, 27권 2호, (2019).
"평양 도시 건설 스펙터클에 관한 소고: 열망과 체념의 정동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 24호, (2019)
"Mobie North Korean Women and Long-Distance Motherhood: The (Re)Construction of Intimacy and the Ambivalence of Family", Korean Studies, 44호, (2020).
"A Cultural Question for the Division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ter-Asia Cultural Studies. Vol. 21, No. 3. (2020).
“Change and Continuity: North Korean Society at a Crossroads”, Global Asia, 16권 3호, (2021).
“글로벌 대중문화와 생존자의 이야기: 해외출판 탈북 여성 수기의 식민적 시선과 젠더화된 서사”, 『한국여성학』, 38권 2호, (2022).
“북한이탈주민의 ‘스카이캐슬’ 생존기: 임대주택과 교육자본의 공간사회학”, 『통일인문학』, 90호, (2022).
저서/역서/편서
김성경 외 1명 『탈북의 경험과 영화표상』, 문화과학, 2013.
김성경 외 6명 『독재자의 자식들』, 북오션, 2012.
김성경 외 7명 『뉴레프트리뷰 5』, 길, 2014. (역서)
김성경 외 14명, 『뉴레프트리뷰 6』, 길, 2015. (역서)
김성경 외 3명, 『북한 청년들은 "새 세대"인가? : 김정은 정권과 청년 세대의 다중적 정체성』, 경남대학교 출판부, 2015. (편서)
김성경 외 11명, 『Worlding multiculturalisms : the politics of inter-Asian dwelling』, Routledge, 2015. (편서)
김성경 외 5명 『대북제재의 정치경제학』, RPS(성균), 2016.
김성경 외 7명 『분단된 마음의 지도』, 사회평론, 2017.
김성경 외 7명 『분단 너머 마음 만들기』, 사회평론, 2019.
김성경 『갈라진 마음들: 분단의 사회심리학』, 창비, 2020.
‘나운규/라운규와 영화 ‘아리랑’ 개념의 변천사’, 박영정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6』, 사회평론, 2021. (편서)
‘영화관’, 김성수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6』, 사회평론, 2021. (편서)
‘머리말’, 구갑우 외 『한(조선)반도 개념의 분단사: 문학예술편 7』, 사회평론, 2021. (편서)
Kim Sung Kyung ‘North Korean Society at a Crossroad: Change and Continuity in the Kim Jong-un Era’ in Calin, R. and Moon Chung-in, Understanding Kim Jong-Un’s North Korea: Regime Dynamics, Negotiation, and Engagement, Lanham: Lexington Books. 2022.
金聖敬 ‘ 北朝鮮の映画と情動政治’, 崔銀嬉(ed) 『東アジアと朝鮮戦争七〇年―メディア・思想・日本 』, 明石書店, 2022.